Enjoy our interesting and informative contents.
요즘 들어서 반응형이라는 말을 자주 듣지 않나요?
반응형이라는게 과연 무엇일까요?
그럼 질문을 조금 바꿔보아 맑음식구들은 하루에 휴대폰을 통해 인터넷을 얼마나 하시나요?
아마도..시간을 알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시간을 모바일 혹은 태블릿과 함께 보내고 있을거에요.
컴퓨터가 없어도 인터넷 세상으로 쏘옥 들어갈 수 있는 세상.
이 때문에 반응형이라는게 생겨난거죠~
오늘은 반응형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
앞에서 말한것처럼 사용환경이 변화하면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기기를 순차적으로 사용하는데요.
.jpg)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는 90% 이상 사람들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 기기를 순차적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즉! 컴퓨터를 조금이라도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본인이 원하는 작업을 진행한다는 말인거죠~
저 역시 회사에서는 컴퓨터, 출퇴근길에는 휴대폰, 잠자기 전에는 노트북 등
여러 기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뭐...저 같은 경우에는 중요한 업무라기 보다는..그냥 습관인거죠~ㅋㅋㅋㅋㅋ
아무튼~
예전에는 PC에만 적합한 한정적인 디자인 때문에 보기가 어려웠는데요.
요즘은 어디들 들어가든 모바일에 적합한 사이트가 많아서 사실..컴퓨터 보다는 모바일을 더 애용하는거 같습니다.
그만큼 접근성이 엄청 커졌다는거죠~
그럼 단말기 별 최적화 되어 있는 사이트가 얼마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실제로 707개의 단말기를 지원하는 사이트가 있다는데요.
이 사이트의 고객문의 99.9%가 "왜 내 단말기는 지원되지 않는거죠?"라는 거라는데.
믿어지시나요?
때문에 우리는 단말기 최적화를 위한 반응형 디자인을 더욱더 연구하고 관심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궁금증이 생기게 되죠.
모바일 사이트를 따로 만들면 되는것을..왜 꼭 반응형 디자인으로 해야할까???
- 고객은 모바일 사이트가 없는곳에는 당황하게 되고, 재방문을 하지 않기 때문에.
- SEO나 마케팅을 간단하게 해주고 단일화 할 수 있기 때문에.
- 모바일 페이지와 데스크탑 페이지가 동일한 URL로 검색순위 상단 노출을 원하기 때문에.
- 단말기별, 해상도별 사이트를 만들 자금이 부족하기 때문에.
- 값비싼 백엔드 솔루션이 없기 때문에.
이 때문에 반응형 디자인이 필요한것입니다~
.jpg)
실제로 해외의 의류판매 사이트인 http://www.oneill.com/ 의 경우
iPhone/iPod에서
65.7% 전환율이 상승
101.2% 매출 증가
안드로이드에서
407.3% 전환율이 상승
591.4% 매출 증가
모바일 외 기기에서
20.3% 전환율 상승
41.1% 매출 증가
이런 결과를 가져 왔다고 합니다.
.jpg)
또 다른 해외 타이 판매 사이트인 http://skinnyties.com/ 역시
모든기기
13.6% 전환율 상승
42% 매출 증가
iPhone에서
71.9% 전환율 상승
377.6% 매출 증가
결과를 가져왔다죠.
이제는 웹사이트 하나만 잘 만든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는다는걸 잘 보여주는 결과인셈입니다.
서론이 길어졌는데요.
그렇다면 반응형으로 제작할때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jpg)
뷰포트에 대한 이해
모니터 또는 모바일 장치에 디스플레이 요소가 표현되는 영역을 말하는데요.
데스크탑 브라우저는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 전체를 뷰포트로 사용합니다~
반면, 웹킷(Webkt)엔진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모바일 브라우저는 980픽셀의 뷰포트를 사용하는데요.
만약 아이폰3GS(480X320)으로 웹 사이트를 본다면
980픽셀의 페이지를 320픽셀안에 다 표시되도록 전체적인 배율축소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그렇게 되면 글자 및 이미지의 가독성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포털 등 기 개발된 모바일 웹사이트에서는 별도의 메타태그로 뷰포트를 설정해 놓고 있습니다.
1) m.naver.com
2) m.daum.net
3) m.nate.com
레티나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해
|
|
|
|
|
|
1개의 픽셀을 물리적인 4개의 픽셀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1/2 다운 스케일링)
소프트웨어적 PPI와 물리적 해상도의 완전한 분리가 가능하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화질손상 없이 자유로운 해상도 할 수 있습니다.
이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경우
폰트의 계단현상이 극도로 줄어들어 가독성 향상되며, 기존의 레이아웃을 해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화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픽셀 집적도는 OS차원에서 다운 스케일만 지원해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고해상도 모바일 기기는 실제 하드웨어적인 PPI와는 별개로 해당 기기 화면 사이즈에 맞는 소프트웨어적인 해상도(Viewport)를 갖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웹 사이트 제작 시 고해상도 기기를 위한 별도의 레이아웃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거죠~
===================================================================================
어떤가요?
반응형 웹에 대해서 조금은 이해가 되었나요?
이어서 "그럼! 반응형 웹은 어떻게 디자인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돌아옵니다!ㅋㅋㅋㅋ
뿅!
본 리뷰는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과 생각으로 작성된 주관적인 글 입니다
본 내용은 http://m.mkexdev.net/34, http://www.lukew.com/ff/entry.asp?1691,
http://www.thinkwithgoogle.com/research-studies/the-new-multi-screen-world-study.html 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언제나 맑음 with 꼬대리